티스토리 뷰

반응형

리스트

 

스크린골프
스크린골프

 

주말골퍼 얇아진 지갑, 스크린골프 인기


경기 어려움이 가중되면서 이른바 ‘불황형 골프’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많은 주말골퍼가 그동안 주말만 되면 친구들과 팀을 짜 즐기던 골프를 끊고 있습니다. 
고물가와 고금리에 따른 불황 여파로 한 번 갈 때마다 1인당 30만원가량 하는 비용이 부담스러웠기 때문입니다.

 

샷 분석 기능샷 분석 기능
도움이 되는 샷 분석 기능

 


그래도 골프를 치고 싶을 때면 한 달에 2~3번 집 근처에 있는 스크린 골프장을 찾습니다. 
골프를 치려면 새벽 같이 일어나 차를 몰고 골프장까지 가야 하고 비용 부담도 컸지만, 스크린 골프장은 비용이 저렴하고 접근성도 좋습니다.
골프는 치고 싶은데 골프장에 가기엔 시간이나 돈이 없다 보니 대안으로 스크린골프가 썩 괜찮은 선택입니다.
맥주뿐 아니라, 라면, 치킨, 수제 핫도그 같은 분식점에서 만날 수 있는 맛있는 음식도 먹을 수 있는데 실제 골프장의 ‘그늘집’보다 훨씬 낫습니다.



 

 




스크린골프 인기 상승
스크린골프 인기 상승

스크린골프의 인기 이유

 

기술 발전

 

스크린골프 기술 발전
스크린골프 기술 발전


진짜 필드에 있는 듯한 환경을 구현해 낸 것이 스크린 골프 인기의 주된 요인입니다. 
스크린골프 기술의 발전으로 실제 골프와 유사한 경험을 제공하며, 다양한 게임 모드와 편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센서의 수준 향상등 기술발달과 공격적인 마켓팅으로 더욱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국내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골프존과 카카오VX는 최신 기술을 통해 구현해 낸 그래픽을 통해 실제 골프장과 유사한 기분을 느낄 수 있게 해 줍니다.

애플리케이션(앱)으로 간단하게 예약할 수 있고 1인당 1만~2만원대 금액으로 저렴하게 즐길 수 있습니다. 
매장에 골프 장비가 구비돼 있어 따로 개인 용품을 챙길 필요도 없습니다. 
여기에 요식업 사업자등록증을 발급받은 매장에서는 식사와 주류 등 푸짐한 메뉴를 제공해 고객을 끌어모으고 있습니다.

스크린골프 이용요금스크린골프 이용요금
스크린골프 이용요금

 

비용 효율성

 


실제 골프는 그린피, 카트비, 장비 대여료 등 비용 부담이 큰 반면, 스크린골프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즐길 수 있습니다.
불황으로 인해 소비 심리가 위축되면서, 저렴한 가격으로 여가 활동을 즐기려는 소비자들이 스크린골프를 선택하고 있습니다.
할인시간대에 이용하면 1인당 1만~2만원대로 스크린골프를 즐길 수 있습니다.

스크린골프장은 도심 곳곳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높고, 대중교통 이용도 편리합니다.
실제 골프는 이동 시간, 경기 시간 등 많은 시간을 소요하지만, 스크린골프는 짧은 시간 안에 즐길 수 있습니다.
바쁜 현대인들에게 시간 효율성이 높은 스크린골프는 매력적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기성비 좋은 먹거리기성비 좋은 먹거리
기성비 좋은 먹거리

 

 

기후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실내 운동이기 때문에 기후변화의 영향을 (눈, 비, 온도, 안개등)을 받지 않습니다.
필드골프는 사전 예약 후에도 기상현상으로 취소되거나 중도에 포기하는 경우가 많은데 스크린 골프는 기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언제든지 이용이 가능합니다.

기술발전이 스크린골프의 성장세 견인기술발전이 스크린골프의 성장세 견인
기술발전이 스크린골프의 성장세 견인

 

스크린골프의 성장

 

골프장의 경우 주고객층인 4050 세대가 전체 고객층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022년 66.3%, 2023년 66%, 2024년 65.3%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스크린 골프장은 2022년 65.8%, 2023년 66.9%, 2024년 67.0%으로 꾸준히 증가했습니다.

스크린 골프가 과거에는 필드 골프의 보완재에 불과했지만, 앞으로는 상호 보완재뿐만 아니라 대체재로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불황 속에서 스크린골프가 대체재로 각광받는 현상은 여러 경제적, 사회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스크린골프는 실제 골프와 유사한 경험을 제공하면서도 비용 효율성과 접근성을 높여 불황기에 더욱 매력적인 선택지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반응형